마케팅조사 - 제8장 수집자료의 처리와 분석
제8장 수집자료의 처리와 분석
1.다변량분석기법
①요인분석 |
|
②군집분석 |
|
③다차원척도법 |
.소비자가 제품이나 상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을 근거로 하여 제품, 상품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려는 경우에 사용되는 분석 |
④컨조인트분석 |
.제품의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하는 데 아주 유용한 기법 |
⑤회귀분석 |
|
⑥분산분석 |
|
⑦판별분석 |
|
⑧Canonical Correlation |
|
2.상관관계분석 : 하나의 독립변수가 변함에 따라 다른 독립변수가 변하는 관계를 분석하는 기법
3 회귀분석과 유사한 분석기법으로서, 회귀분석의 경우 종속변수가 하나로 제한되는 반면, 종속변수를 여러 개 포함해서 분석할 수 있는 것은:
Canonica Correlation(케노니컬 코럴레이션,정준 상관분석)
4.컨조인트분석
제품의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하는 데 아주 유용한 기법이다. 즉, 제품속성들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여러 가지의 제품 대안들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제품을 평가할 때 어떤 속성을 어느 정도 중요시하고 있는가를 밝혀내는 기법이다.
5.사전에 정의된 둘 or 그 이상의 집단이 다른 요소를 알아보는 방법은:판별분석
6.통계분석기법 중 종속변수의 개념이 없는 것은?
※종속변수의 개념이 없는 통계분석기법에는 요인분석, 군집분석이 대표적이며, 상관관계분석, 도수분포분석, 기술통계분석 등이 있다. 즉 이들 문석들은 주로 독립변수나 개별변수의 특성 및 관계를 설명하는 데 초점을 둔다.
7.수집자료 체크시 포함되는 내용
-질문서의 구조
-수집자료의 이용목적
-자료의 구조(Data Structure 데이터 스트럭처)
8.모집단의 평균의 가장 좋은 추정치는: 표본의 평균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하는 데는 표본의 평균이 가장 좋은 추정치이다.
9.중심화 경향을 측정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계치는:
평균, 중앙값, 최빈값, (평균편차x)
10.다속성 태도측정 분석
이 방법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제품.상표분석방법으로서 소비자에게 해당 제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속성을 제시하고 각 속성의 중요도는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각 상표별로 각 속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 묻는 방법이다.
11.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부(-)일 때 관계는:
하나의 변수가 증가하면 다른 변수는 감소한다.
※상관관계란 하나의 변수가 변함에 따라 변수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①한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와 관계가 없다면 상관관계가 없는 것이며,
②다른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변화하면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하고,
③다른 방향으로 변화하면 부(-)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다.
④즉, 정(+)은 비례관계이며, 부(-)는 반비례관계이다.
12.분석
수집된 자료를 가공처리하여 어떤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초자료(Raw Data)가 모이고 정리되며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의미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을 때 자료는 정보로 변화시키는 활동이다.
13.자료의 표준화 공식은
(기초자료-기초자료의 평균)/기초자료의 표준편차
14.중앙값과 최빈값의 개념
①중앙값: 자료를 크기 순서로 나열했을 때 그 순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자료의 값이다. 자료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에는 중앙에 있는 2개의 평균을 중앙값으로 한다
②최빈값: 가장 빈도수가 많은 측정값을 의미한다
※총1000명을 대상으로 ‘나는 내 삶에 만족한다’라는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다에 1에서부터 매우그렇다의 9까지 자신이 느끼는 것을 조사하였다. 최빈값을 계산하시오 ( 7-194)
1-58 2-80 3-10 94-106 5-121 6-175 7-194 8-92 9-65 |
15.중앙값, 평균값, 최빈값과 중심화 경향의 관계
①평균값 = 중앙값 = 최빈값: 대칭분포의 그림
②평균값 < 중앙값 < 최빈값: 왼쪽 꼬리 분포의 그림
③평균값 > 중앙값 > 최빈값: 오른쪽 꼬리 분포의 그림
16.평균값의 특성
-중앙값, 최빈값보다 표본추출의 변화에 의한 오차가 적다
-어떤 분포 전체의 집중경향을 측정하고 예측할 수 있다
-평균은 예외적으로 큰 값이 있는 경우 그 방향으로 당겨진다.
-자료의 반은 평균보다 작고 나머지 반은 중앙값보다 작거나 크다
17.중앙값에 대한 올바른 설명:
자료의 반은 중앙값보다 작고, 반은 중앙값보다 크다
18.확률변수란 무엇인가: 표본공간의 각 요소에 실수를 부여하는 법칙
※연구대상이 변화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경우를 표본공간이라고 한다. 표본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모든 요소에 대해서 실수를 부여하는 원칙을 확률변수라고한다.
연구대상이나 현상을 그대로 다루는 것보다 확률변수의 행태를 분석하는 것이 문제를 더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19.코딩: 질문에 대한 다양한 응답내용에 대해서 숫자를 할당하는 과정
20.자료의 표준화의 의미는: 자료를 평균이 0, 분산이 1이 되도록 변환한다
21.자료의 중심 집중도가 가장 높은 분포는: 대칭분포
※빈도곡선의 유형 중에서 자료의 중심 집중도가 가장 높은 것은 대칭분포이다. 대칭분포인 경우에는 산술평균, 중앙값, 최빈값이 모두 일치한다.
예외적으로 큰 값이 있으면 평균은 오른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22.다음 중 다변량분석기법이 아닌 것은? 4
①회귀분석 ②군집분석 ③컨조인트분석 ④컴퓨터 이용조사법
※컴퓨터 이용조사법은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며, 다변량분석기법의 대표적인 것으로 회귀분석, 군집분석, 컨조인트분석기법 등이 있다.
23.통계분석 중 분석의 목적이 ‘기술적 분석’인 것은? 4
①판별분석 ②군집분석 ③교차분석 ④도수분포분석
※도수분포분석은 이산형 변수 또는 여러 개의 범주로 구분된 범주형 변수에 대하여 각종 기술통계량을 추출하는 통계분석이다.
이것은 도수분포표, 막대도표, 히스토그램, 백분위수 등 각종 기술통계를 제공해 주며
기술적 분석이란 자료의 형태를 나열하는 데 초점을 둔 분석기법을 의미한다.
24.도수분포분석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4
①히스토그램 ②막대도표 ③도수분포표 ④빈도표
25.어떤 연구가 부적절한 표본틀(Sampling frame)을 사용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면, 그 연구 결과는 대표성을 결여하게 된다.
26.실험설계법: 마케팅조사자가 하나 이상의 독립변수를 직접적으로 통제.조작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는 조사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