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중/독학사 2단계

조직행동론 제2장. 개인행동의 이해(3)

채너리님 2013. 3. 24. 15:46

제5절. 학습과 의사결정

1.학습

(1)학습의 정의: 여러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게끔 개인을 조건화 하는 과정

후천적으로 획득한 것. 잠재적으로 변화할 행위에 대해서도 학습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2)학습이론 (행태론적 학습/인지론적 학습)

*행태론적 학습: 학습을 자극과 반응의 연상으로 파악.

반사적행위(고전적 조건화)

작동적행위(조작적 조건화)

특별 자극에 따라 나타나는 인간의 모든 반응(본능적반응)

개인이 외부 물질에 대해 직접,간접으로 작용시키는 것.(지나가기 위해 발을 내딛는 것)

 

*인지론적 학습:자극과 반응을 연결시키는데 ‘사고과정(인지)’을 포함.

관찰학습(통찰학습)

인지학습

학습은 통찰을 통해 나타난다. 문제를 숙고한다음 해결책을 어느 한순간에 갑자기 알게된다.

무슨행동을 하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 것이란 ‘수단-목표’의 기대에 따라 나타난다는 것.

#조직행동론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학습과정은 작동적 (작동적행위)조건화 . 나머지는 그닥 중요하지 않게 여김.

작동적 행위가 중요한 이유는 경영자 통제에 따라 가장 쉽게 변화시킬수 잇는 행위가 조작적 행위이기 때문.

 

2.의사결정

*의사결정의 모형

경제인모형(합리적 이론)

관리인모형(만족이론)

→극대화(이상적).

완전한정보/완전한합리성/모든대안평가/최적 의사결정가능/규범적 모형

→제한된 합리성.현실적모형

불완전 정보/대안의 제한된 합리적평가/만족한 의사결정/기술적모형/대안의 순차적탐색

*의사결정의 과정

문제인식→대안 탐색/평가→최적 대안선택→실행→평가

*의사결정의 유형

1)개인의사결정과 집단의사결정

**집단의사결정 장단점

-장점: 많은 지식과 정보이용,다양한 관점수렴/ 구성원들 상호작용/ 일의 전문화/ 구성원 전체의견반영/커뮤니케이션 활발

-단점: 시간,에너지 낭비/특정 구성원 독단가능성/최적안이 묻힐수있음/의견불일치 따른 갈등/신속한 결정 불가

구조화 잘된 정형적 결정은 집단의사결정이 효과적, 구조화가 잘 안되고 신속한 결정은 개인의사결정이 유리.

2)정형적,비정형적 의사결정

정형적 의사결정

비정형적 의사결정

일상적,보편적,반복적

해결안은 절차따라 사전명시

의사결정:하위층

조직형태:구조화된 문제 많은조직.

독특,참신,비반복

창의적

의사결정:고위층

구조화가 안되어 있고 비일상적,복잡한 조직

 

3)확실성,불확실성,위험 아래에서의 의사결정

확실성 의사결정

불확실성 의사결정

위험 의사결정

확실히 예측 가능한 경우의 의사결정

.하위층

고도의 불확실성 존재

 

.최고 고위층

확실성 의사결정과 불확실성 의사결정의 중간

.확률존재.반반

 

4)전략적,관리적,업무적 의사결정

-전략적 의사결정: 최고경영층

-관리적 의사결정: 중간관리층

-업무적 의사결정: 하위관리층

 

*집단의사결정 개선방안(집단의사결정기법)

1)명목집단법-명목상 집단일뿐 구성원 간 대화가 없는 집단. 브레인스토밍을 수정,보완한 것.

2)델파이법-전문가 몇 명이 특정문제에 대한 의견을 우편으로 논평하여 문제해결. 익명성보장, 시간많이 들고 통제안됨.타인영향 배제

3)브레인스토밍-특정문제 대해 여러 사람이 모여 자신의 생각 자유롭게 무작위 발표하여 아이디어 찾음

4)변증법적 토의법-대화술,문답술. 각 대안에 대해 두 집단(찬성/반대)으로 나눠 대안을 토의.

5)지명반론자법-집단에서 2~3명 구성해 대안에 반론자 역할을 부여. 원안에 의도적으로 단점과 약점을 지적.

6)토론리더의 훈련-가장 흔한 방법으로 명목집단법과 함께 토론리더의 훈련이다. 한사람 리더가 토론이끌며 의사결정.

*집단사고: 응집력 높은 집단에서 구성원간 합의에 요구가 지나치게 커서 현실대안모색을 방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

집단사고는 집단의 정신적 효율성을 저하하고 현실검토를 불충분하게 하며 도덕적 판단을 흐리게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