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동론 제2장. 개인행동의 이해(3)
제5절. 학습과 의사결정
1.학습
(1)학습의 정의: 여러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게끔 개인을 조건화 하는 과정
후천적으로 획득한 것. 잠재적으로 변화할 행위에 대해서도 학습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2)학습이론 (행태론적 학습/인지론적 학습)
*행태론적 학습: 학습을 자극과 반응의 연상으로 파악.
반사적행위(고전적 조건화) |
작동적행위(조작적 조건화) |
특별 자극에 따라 나타나는 인간의 모든 반응(본능적반응) |
개인이 외부 물질에 대해 직접,간접으로 작용시키는 것.(지나가기 위해 발을 내딛는 것) |
*인지론적 학습:자극과 반응을 연결시키는데 ‘사고과정(인지)’을 포함.
관찰학습(통찰학습) |
인지학습 |
학습은 통찰을 통해 나타난다. 문제를 숙고한다음 해결책을 어느 한순간에 갑자기 알게된다. |
무슨행동을 하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 것이란 ‘수단-목표’의 기대에 따라 나타난다는 것. |
#조직행동론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학습과정은 작동적 (작동적행위)조건화 . 나머지는 그닥 중요하지 않게 여김.
작동적 행위가 중요한 이유는 경영자 통제에 따라 가장 쉽게 변화시킬수 잇는 행위가 조작적 행위이기 때문.
2.의사결정
*의사결정의 모형
경제인모형(합리적 이론) |
관리인모형(만족이론) |
→극대화(이상적). 완전한정보/완전한합리성/모든대안평가/최적 의사결정가능/규범적 모형 |
→제한된 합리성.현실적모형 불완전 정보/대안의 제한된 합리적평가/만족한 의사결정/기술적모형/대안의 순차적탐색 |
*의사결정의 과정
문제인식→대안 탐색/평가→최적 대안선택→실행→평가
*의사결정의 유형
1)개인의사결정과 집단의사결정
**집단의사결정 장단점
-장점: 많은 지식과 정보이용,다양한 관점수렴/ 구성원들 상호작용/ 일의 전문화/ 구성원 전체의견반영/커뮤니케이션 활발
-단점: 시간,에너지 낭비/특정 구성원 독단가능성/최적안이 묻힐수있음/의견불일치 따른 갈등/신속한 결정 불가
구조화 잘된 정형적 결정은 집단의사결정이 효과적, 구조화가 잘 안되고 신속한 결정은 개인의사결정이 유리.
2)정형적,비정형적 의사결정
정형적 의사결정 |
비정형적 의사결정 |
일상적,보편적,반복적 해결안은 절차따라 사전명시 의사결정:하위층 조직형태:구조화된 문제 많은조직. |
독특,참신,비반복 창의적 의사결정:고위층 구조화가 안되어 있고 비일상적,복잡한 조직 |
3)확실성,불확실성,위험 아래에서의 의사결정
확실성 의사결정 |
불확실성 의사결정 |
위험 의사결정 |
확실히 예측 가능한 경우의 의사결정 .하위층 |
고도의 불확실성 존재
.최고 고위층 |
확실성 의사결정과 불확실성 의사결정의 중간 .확률존재.반반 |
4)전략적,관리적,업무적 의사결정
-전략적 의사결정: 최고경영층
-관리적 의사결정: 중간관리층
-업무적 의사결정: 하위관리층
*집단의사결정 개선방안(집단의사결정기법)
1)명목집단법-명목상 집단일뿐 구성원 간 대화가 없는 집단. 브레인스토밍을 수정,보완한 것.
2)델파이법-전문가 몇 명이 특정문제에 대한 의견을 우편으로 논평하여 문제해결. 익명성보장, 시간많이 들고 통제안됨.타인영향 배제
3)브레인스토밍-특정문제 대해 여러 사람이 모여 자신의 생각 자유롭게 무작위 발표하여 아이디어 찾음
4)변증법적 토의법-대화술,문답술. 각 대안에 대해 두 집단(찬성/반대)으로 나눠 대안을 토의.
5)지명반론자법-집단에서 2~3명 구성해 대안에 반론자 역할을 부여. 원안에 의도적으로 단점과 약점을 지적.
6)토론리더의 훈련-가장 흔한 방법으로 명목집단법과 함께 토론리더의 훈련이다. 한사람 리더가 토론이끌며 의사결정.
*집단사고: 응집력 높은 집단에서 구성원간 합의에 요구가 지나치게 커서 현실대안모색을 방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
집단사고는 집단의 정신적 효율성을 저하하고 현실검토를 불충분하게 하며 도덕적 판단을 흐리게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