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동론 제2장. 개인행동의 이해(4)
제6절. 성격과 문화적 가치
1.성격(패스낼리티 Personality)
①정신역동이론
프로이트는 인간 행위가 무의식에 의해 지배된다고 봄.
-원초아(id)-쾌락을 극대화하고 고통을 극소화하려는 본능
-자아(ego)-성격의 현실지향적 부분
-초자아(superego)-일반적 양심에 해당, 성격에 윤리,도덕성이 첨가된 이상적 자아.
(원초아와 자아는 무의식과 의식의 차이이며, 초자아는 자아의 상위단계의 자아라고 생각하면 된다)
②인본주의적 성격(Personality)이론
-인간은 자기실현,성장을 향한 강한 경향이 있다)
③특질이론
성격이 독특한 특질로 구성되고 그 특질이 개인 행위를 결정
④성격이론의 모순점: 상황요인을 모두 무시함
(1)성격(Personality)변수
통제위치 |
삶에서 얻는 결과에 자신행동이 얼마나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는지 측정하는 개념 |
성취욕구 |
자아실현과 고차원적 목표지향 |
권력욕구 |
다른 사람에 대해 통제력을 행사하거나 영향력을 미치려는 욕구 경영자의 경우 어느정도 권력욕구가 필요하다 |
친교욕구 |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유쾌한 관계로 확립,유지,회복하려는 욕구 |
외향성과 내향성, A형과 B형 | |
마키아벨리적 성향 |
권력지향적인 성격의 특성으로 자신목적달성을 위해선 수단방법 안가리는 것을 말함. |
기타 |
권위주의적성향/ 자기관찰성/모험성향 |
(2)지각
*지각의 과정: 선택→조직화→해석
*스키마: 사람의 머릿속에 형성된 지식체계
*타인평가의 영향요인
평가자의 특성-욕구와동기/과거경험/자아개념/성격
피평가자의 특성-신체적특성/언어적 의사소통/비언어적 의사소통/사회적특성
*지각의주제
대인지각: 인상형성이론에 따라 설명가능
사회적지각: 귀인이론에 따라 설명가능
**조직에서의 지각오류
-상동적태도 -현혹효과
-주관의객관화 -기대 -대비효과/유사효과
-선택적 지각 -지각방어 -관대화경향/가혹화경향
※현혹효과 : 한분야에 대해서 얻은 한사람의 인상이 다른분야에서도 영향을 주는 지각오류
※주관의 객관화: 자신의 특성이나 관점을 다른 사람에게 적용시키려 판단하는 지각오류
(3)인상형성이론
:인상은 어떤 사람에 대한 느낌을 말한다. 사람은 한번 정해진 인상으로 그 사람을 판단한다. 이 인상이 형성되는 공통적 패턴을 설명한 이론
①첫인상 효과: 낯선 사람을 처음 만날 때 얻는 한정적 정보를 기초로 광범위한 인상을 형성하는 것,
첫인상은 어지간해서 변하지 않고 오래 유지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②일관성: 사람은 단편적 정보를 통합해 타인에 관해 일관적인 특징을 형성하려고 한다
③중심특질과 주변특질: 통일된 인상을 형성하는데는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특질과 주변적 역할밖에 못하는 특질이있다
④합산원리와 평균원리: 합산원리는 전체인상이 여러특질의 단순합계라는 주장. 평균원리는 단순평균의 형태.
(4)귀인이론 (창시자: 하이더)
사람들에게는 일반적으로 타인의 행위를 보고 그 행위의 원인을 추리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
사람들은 다른사람들이 뭔가 하는 것을 관찰할 때 자동으로 왜 그들이 그런행동했는가를 추정하려함.
*원인의 귀속 유형(원인을 돌리는 것)
내적귀인 |
외적귀인 |
행위의 원인을 동기,능력,성격등 내적요인으로봄 |
행위 원인을 환경등 외적요인으로 봄 |
*귀인과정에서의 편견
①행위자-관찰자 효과: 자신 행위는 상황적,외적인 요인으로 귀속시키고 타인 행위는 내적으로 귀속시키는 편견
(ex; 행위자관찰자효과-백화점에서 카트부딪히면 남이면 경솔하고 조심성없고 내가하면 바닥이 미끄럽다)
②자존적편견: 자신의 자존심이나 자아를 지키고 높이는 방향으로 행위자의 행위원인을 귀속시키는 편견.
(5)인지부조화 이론(페스팅거)
사람은 자신의 태도사이 또는 태도와 행동사이에 일관되지 않거나 모순이 존재하는 경우 비 일관성이나 모순을 불쾌하게 여기고 또 이것을 감소시키려고 한다는 이론.
(6)태도
*태도의 3가지 요소(인정행)
인지적 요소 |
대상에 대한 지각,신념,사고 |
정서(감정)적 요소 |
한 대상에 대한 감정, 즉 그것에 대한 호의,비호의 |
행위(행동)적 요소 |
한 대상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경향과 관련. |
*카츠가 제시한 태도의 4가지 기능
①적응기능②자아방어적 기능
③가치표현적 기능④탐구적기능
※적응기능: 바람직한 목표를 달성하고 그렇지 못한 결과를 피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하는 태도의 기능
*태도변화의 과정 3단계(해변재): 해빙→변화→재동결 (‘레빈’이 주장)
*해빙의 단계:
물리적인 제거→지원파괴→굴욕적인 경험→상과 벌
*변화의 과정: 순종→동일화→내면화
동일화 |
.수용자가 행사자와 만족스런 관계를 위해 그의 영향력을 받아들일 때. |
내면화 |
.수용자가 행위자에 의해 유도한 행위가 그의 가치관과 일치됨으로써 영향력을 받아들임.(key;가치관 일치) .유발된 태도나 행위가 내제적으로 보상 받아야 하며 한사람의 가치체계에 부합하는 경우 발생하는 변화과정 |
*태도변화의 관리
→설득(가장 널리사용)/공포유발/인지부조화의 유발/참여제도/여론지도자로서의 역할
2.문화적 가치
(1)문화의정의
보편주의적 접근법 / 상대주의적 접근법
제7절. 능력
어떤일을 최대한 잘 해낼수 있는 광범위하고 안정적인 특징. 즉 직무를 해낼수 있는 가능성.
지적능력: 수리력,언어이해력,지각속도,귀납적추리력등.
신체(육체)적능력: 체력,근력,지구력,유연성,균형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