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장 노동운동의 발전
1.노동운동? 노동자계급의 조직적 투쟁
노동운동의 발단: 산업화→ 임금노동자 → 노동조합
노동운동의 발전과정: 노조탄압 →노조용인→ 법적보장
2.노동조합의 출현에 가장 결정적 계기가 된 사건: 산업혁명
3.노동운동발전과정 산업화 초기 정부정책
자본축적 지원. 노동조합의 설립을 금지하거나 활동 제한, 사용자의 편,
4.노동운동 성장의 특성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의 확보와 함께 정치.경제에 대한 영향력을 증대
①영국-노동운동 처음 발생
-18c 후반 산업혁명, 러다이트운동(공장기계 파괴사건)
②독일-바이마르헌법: 무제한의 단결의 자유를 보장
③프랑스-르 샤를리에법: 노동자들의 단결과 파업을 일체 금함
④미국-클레이튼법: 평화적,합법적인 파업에 대해서는 금지명령을
내릴 수 없다
-와그너법: 전국노동관계법, 노동자를 적극 보호
⑤일본 -치안경찰법-치안유지법-노동조합법(단결권과 쟁의권 인정)
5.노동운동의 본질과 이론
①정치적혁명 이론- 마르크스
-계급분열, 자본주의 체제 제거
-계급투쟁의 도구로 중요, 공산주의 실현 목적
-노동자를 일시적 보호
②산업민주주의 이론- 웹 부부(시드니 웹과 베아트리스 웹)
-페이비언협회, 노동계급의 형성, 점진주의 신봉
-단체교섭, 산업민주주의 등의 단어를 처음 사용
시대 |
보호방안device |
실현방안regulation |
18c 기득권 |
조합원 수의 제한 |
상호보험 |
19c 공급과 수요 |
공통규칙 |
단체교섭 |
20c 생활임금 |
국민적 최저 기준 |
입법화 |
③환경특성 이론- 코먼즈 (미국 노동경제학의 기초를 세움)
-노동운동은 다양한 종류의 집단들의 경제적.정치적.산업적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노동조합은 노동자의 근로조건을 향상시키는 도구이며, 노동자의 적은 자본가가 아닌 시장의 폐해라고 주장
-자본주의 발달 과정을 세단계로 구분
자본주의 발달과정 |
원인 |
내용 |
상업자본주의 |
시장팽창과 경쟁격화에 따른 비인간적. 기계적 경영 |
노동운동등장.경쟁으로부터 노동자 보호 |
사용자 자본주의 |
전문화.기계화.대량생산 |
단체교섭: 통일된 표준, 자본주의체체의 전복 |
은행가 자본주의 |
세계적 경영을 통한 생산통제 |
국제노동운동 |
④기회추구 이론- 펄만(노동운동을 결정짓는 세집단: 자본가, 육체노동자, 지식인)
-노동자의 심리적 측면 강조,
-펄만이 지적한 미국 노동운동의 특징
ㄱ.강력한 자본주의체제
ㄴ.지식인들의 영향이 미미한 노동운동
ㄷ.육체근로자들의 높은 성숙도
자본가 계급 |
심리관- 이익의 극대화, 기회의식. 기회의풍요의식, 경재생활-모험 |
노동자 계급 |
심리관- 기회의 희소식, 경제적 태도.현실적. 계속적인 반항, |
지식인 계급 |
.현존사회제도의 불만, 개혁자 |
⑤산업화집단 이론- KDHM (커,던롭,하비슨,마이어스 의 약칭) 다원주의
산업화주역 |
배경/국가 |
강조점 |
노사관계 |
왕조 엘리트 |
.독일.일본 .토지귀족사회 .구군인사회 |
.친권적 사회 |
.자유노조운동 억제 .극단적 노동운동 |
중산계층 엘리트 |
.미국.영국 |
.개인주의. 자유방임주의 시장기능에 의존 |
.직무통제가 기원 .동맹파업 .단체교섭인정 |
혁명적 지성 엘리트 |
.구소련.중국등 공산국가 |
.급속한 공업화 .급격한 기존질서 변화 |
.당과 국가에 복종 |
식민지관리자 |
|
.모국의 이익에 관심 |
.반식민주의.대중시위 |
민족적엘리트 |
인도.신생독립 아프리카국가 |
.민족주의 |
.평화적 시위 |
⑥노동이론의 비교
ㄱ.노동이론의 합의점: 산업화 → 임금노동자 →노동조합(노동자보호)
ㄴ.노동조합 등장원인:
- 웹 부부, 마르크스, 코먼즈: 계급분열
- 펄만 : 기회의 희소식
ㄷ.노동운동의 목적:
-마르크스: 자본주의체제의 타파
-웹 부부: 산업민주주의 실현
ㄹ.노동조합의 힘은 경제성장 및 특정환경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노동운동을 혁명수단으로 주장하는 이론
: 마르크시즘, 혁명적 생디칼리즘, 신좌파운동
'공부하는중 > - 노사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사관계론 제 12장 근로자 복지와 사회보장제도 (0) | 2013.07.02 |
---|---|
노사관계론 제 4장 외국의 노사관계 (0) | 2013.07.02 |
노사관계론 제 2장 노사관계의 본질과 형태 (0) | 201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