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중/독학사 2단계

조직행동론 제2장. 개인행동의 이해 (1)

채너리님 2013. 3. 24. 15:43

제2장. 개인행동의 이해

 

제1절. 직무만족

(1)개념-종업원이 자신의 직무나 직무경험을 평가할 때 발생하는 호의적이고 긍정적인 정서상태.

(2)직무만족과 조직유효성-이직률(역관계)/결근율(역관계)/생산성(정관계)

*직무기술지표-직무만족 5가지 측면을 설명해 놓은 문항에 예,아니오 등으로 응답하는 것.

*미네소타설문지-리커트의 5점척도를 사용하여 측정.

*직무몰입: 개인이 자신의 직무에 몰두하거나 사로잡히는 정도

*직무몰입 결정요인: 직무특성요인/개인특성요인/상사의 지원,동료들관계,공정한보상체계등

 

제2절. 스트레스

①스트레스는 정신적 정서적 문제뿐 아니라 육체적 영역에서도 존재한다

②스트레스는 지각하거나 경험하지 않으면 일어나지 않는다

③스트레스는 있다 없다 같은 이분법적 개념이 아니라 정도의 문제다.

④스트레스는 양면성이 있다.

 

제3절. 동기부여(★)

1.개념-조직목표 달성을 위한 구성원의 자발적 행동, 자기 욕구를 충족시키며 동시에 조직목표 달성 위해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고자 하는 노력.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동시에 추구.

*동기부여의 중요성-격려/발전/이해/기술변화/인적자원

 

2.동기부여의 접근

경영학적 관점에서→전통적 접근(경제인가설)/인간관계론적 접근(사회인가설)/인적자원적접근(복잡한 인간가설)

전통적 접근법

-맥그리거의 X이론.→동기부여 초기모델

종업원들을 동기부여 할 수 있는건 돈뿐. 과학적관리운동(테일러)에 반영

인간관계론적

접근법

사회적 측면을 강조

인적자원적

접근법

종업원을 잠재적 자원으로 파악.

조직과 개인 모두를 위하는 방식으로 종업원의 능력을 개방.

 

동기부여의 내용이론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욕구5단계설/ERG이론/2요인이론/성취동기이론

기대이론/공정성이론/목표설정이론/강화이론

 

 

3.동기부여의 내용이론

(1)욕구5단계설(매슬로)

인간의 욕구는 타고난 것, 욕구를 강도와 중요성에 따라 5단계로 분류.

*욕구5단계설:

①생리적 단계②안전

③애정과 소속④자기존중(명예나 권력 원하는 욕구)⑤자아실현 욕구 단계

*욕구는 낮은 단계에서부터 높은단계로 성장해 간다.

(2)ERG이론(알더퍼)

3단계 욕구이론으로 매슬로 욕구5단계설의 문제를 해결,극복,보완하기 위해 제시된 이론.

5단계를 3단계의 범주로 구분.

존재욕구(E)/ 관계욕구(R)/ 성장욕구(G)

 

(3)2요인이론(허츠버그)

동기- 위생이론이라고도 함.

만족과 불만족이 전혀 별개의 차원이라고 말함.

*(key: 위생요인과 동기요인) 위생요인과 동기요인의 차원은 완전히 다른 차원에 속함.

*2요인이론은 만족차원과 불만족차원을 확실히 구분하고 있음을 기억.

 

(4)성취동기이론(맥클리랜드)

욕구5단계설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욕구를 기초 삼아 동기부여에 관해 설명하려는 이론.

*성취욕구/친교욕구/권력욕구

 

4.동기부여의 과정이론

동기부여과정 공식: P =f (M x A)

성과=모티베이션과 능력의 곱의 함수다

(1)브룸의 기대이론

브룸 기대이론은 개인차를 강조하며 개인의 목표와 욕망이 어떻게 행동으로 연결되는지를 설명한 이론.

동기부여의 정도는 다음 3가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봄

→기대 / 수단성 / 유의성

 

(2)공정성이론(애덤스)

특정 개인이 다른 개인들에 비해 얼마나 공정한 대우를 받느냐 하는 느낌, 즉 인간의 사회적 느낌을 중시하는 이론.

*불공정성의 지각→개인내의 긴장→긴장감소 쪽으로 동기부여→행위

*개인의 행위에는 투입과 산출이 존재한다. 투입은 자신이 일에 투자하는 자산따위, 산출은 그에 따라 얻어지는 결과

개인은 투입과 산출의 비율을 타인과 비교하며 투입에 비해 산출이 불공정하다고 느끼면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동기부여됨.

 

(3)목표설정이론(로크)

종업원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달성해야 할 목표를 분명히 해주는 것. 로크에 따르면 행위는 ‘가치’와 ‘의도’에 따라 결정.

*목표설정과정: 가치와 가치판단→정서와 욕망→의도 또는 목표→실제 행위,성과

*로크의 이론에서 목표는 실제 행위에서 의식적인 의도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

*목표설정이론의 3단계:

①성취가능한 범위에서 어렵고 구체적목표달성(수량,시간등을 명쾌하게 목표를 정함)

②다양한 보조수단을 통해 목표를 수용하고 집착

③적절한 훈련과 정보제공, 목표달성을 지원, 성과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제공

*목표설정이론

다목표의 경우

시간적 차원

환경불확실성

우선순위를 정해서 순차적으로 성취

단기목표를 우선

시간경과에 따라 목표효과가 유지되거나 감소